주일 1부 예배 / 오대식 목사님
내 인생에 게르솜과 엘리에셀
(출애굽기 18:1~12)
1. 모세의 장인이며 미디안 제사장인 이드로가 하나님이 모세에게와 자기 백성 이스라엘에게 하신 일 곧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신 모든 일을 들으니라
2. 모세의 장인 이드로가 모세가 돌려 보냈던 그의 아내 십보라와
3. 그의 두 아들을 데리고 왔으니 그 하나의 이름은 게르솜이라 이는 모세가 이르기를 내가 이방에서 나그네가 되었다 함이요
4. 하나의 이름은 엘리에셀이라 이는 내 아버지의 하나님이 나를 도우사 바로의 칼에서 구원하셨다 함이더라
5. 모세의 장인 이드로가 모세의 아들들과 그의 아내와 더불어 광야에 들어와 모세에게 이르니 곧 모세가 하나님의 산에 진 친 곳이라
6. 그가 모세에게 말을 전하되 네 장인 나 이드로가 네 아내와 그와 함께 한 그의 두 아들과 더불어 네게 왔노라
7. 모세가 나가서 그의 장인을 맞아 절하고 그에게 입 맞추고 그들이 서로 문안하고 함께 장막에 들어가서
8. 모세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을 위하여 바로와 애굽 사람에게 행하신 모든 일과 길에서 그들이 당한 모든 고난과 여호와께서 그들을 구원하신 일을 다 그 장인에게 말하매
9. 이드로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큰 은혜를 베푸사 애굽 사람의 손에서 구원하심을 기뻐하여
10 이드로가 이르되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 너희를 애굽 사람의 손에서와 바로의 손에서 건져내시고 백성을 애굽 사람의 손 아래에서 건지셨도다
11. 이제 내가 알았도다 여호와는 모든 신보다 크시므로 이스라엘에게 교만하게 행하는 그들을 이기셨도다 하고
12. 모세의 장인 이드로가 번제물과 희생제물들을 하나님께 가져오매 아론과 이스라엘 모든 장로가 와서 모세의 장인과 함께 하나님 앞에서 떡을 먹으니라
모세는 아내와 두 아들과 함께 애굽에 가려했으나 하나님께서 막으셔서모세 혼자 갔습니다. 약 4개월 이후 장인이 아내와 아들을 데리고 모세를 만나러 갔습니다.
모세는 인간적입니다.
(출애굽기 18:8~9) 모세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을 위하여 바로와 애굽 사람에게 행하신 모든 일과 길에서 그들이 당한 모든 고난과 여호와께서 그들을 구원하신 일을 다 그 장인에게 말하매 이드로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큰 은혜를 베푸사 애굽 사람의 손에서 구원하심을 기뻐하여 |
장인에게 무용담 이야기를 하는 장면에서 모세의 인간미가 느껴집니다.
(출애굽기 18:2~4) 모세의 장인 이드로가 모세가 돌려 보냈던 그의 아내 십보라와 그의 두 아들을 데리고 왔으니 그 하나의 이름은 게르솜이라 이는 모세가 이르기를 내가 이방에서 나그네가 되었다 함이요 하나의 이름은 엘리에셀이라 이는 내 아버지의 하나님이 나를 도우사 바로의 칼에서 구원하셨다 함이더라 |
두 아들 게르솜과 엘르에셀 이름에서 모세의 인간미가 느껴집니다.
게르솜 : 내가 이방에서 객이 되었다. (상처, 아픔, 고통) → 광야에서 도망자 모세의 상황을 나타내는 이름입니다.
엘르에셀 : 내 하나님이 도우신다. (회복, 치유) → 광야에서 안정을 찾아 안전한 모세의 상황입니다.
: 모세의 굴곡 많은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습니다.
왜 모세인가? 왜 하나님은 모세를 선택하셨을까?
[상황]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이 40년간 광야 길을 가는 것은 하나님의 계획입니다.
왜 40년 일까?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서 애굽의 문화를 떨쳐버리게 하기 위해 그만큼 긴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애굽의 농경문화 → 광야의 유목문화 → 가나안의 농경문화"로 이스라엘 백성의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함입니다.
습관 < 유행 < 문화 < 전통
: 습관이 퍼져나가면 유행이 되고, 유행이 저변 확대가 되면 문화가 되고, 문화가 세대가 바귀면서 까지 이어지면 전통이 됩니다.
문화가 전통이 되려면 적어도 한 세대가 흘러야 합니다. 그 한 세대가 40년이 맞는 것 같습니다.
농경문화는 태양신을 섬기며, 풍요를 바라고 창고에 쌓아놓기를 원합니다.
유목문화는 쌓아놓을 수 없습니다. 푸른 초장과 쉴만한 물가를 목자가 찾아줘야만 하고, 짐승으로부터 목자가 찾아줘야만 합니다. 그리고 일용할 양식이 필요합니다.
40년 한 세대 지나도록 농경문화에서 유목문화를 갖도록 하는 하나님의 훈련 커리큘럼입니다.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 수 있는 리더가 될 사람의 조건은 무엇일까?
- 광야를 잘 아는 사람
- 광야에서 살았던 사람(모세는 40년간 광야에서 살았습니다)
- 지도자 수업을 받은 사람(모세는 애굽 공주의 아들로 왕자 수업을 40년간 받았습니다)
- 유대인(모세는 히브리인, 유대인입니다)
▶ 모세의 삶은 하나님의 엄청난 투자 비용이 든 계획입니다. 이 모든 것은 하나님의 훈련입니다.
나도 게르솜(상처,아픔,고통) 고백일 때, 그리고, 엘르에셀(회복,치유) 고백일 때가 있습니다.
나의 삶도 모두 하나님의 나에 대한 계획일 것입니다.
♪ 너 근심 걱정 말아라 ♪
너 근심 걱정 말아라 주 너를 지키리 주 날개 밑에 거하라 주 너를 지키리
주 너를 지키리 아무때나 어디서나 주 너를 지키리 늘 지켜 주시리
어려워 낙심 될때에 주 너를 지키리 위험한 일을 당할 때 주 너를 지키리
주 너를 지키리 아무때나 어디서나 주 너를 지키리 늘 지켜 주시리
너 쓸것 미리 아시고 주 너를 지키리 구하는 것을 주시며 주 너를 지키리
주 너를 지키리 아무 때나 어디서나 주 너를 지키리 늘 지켜 주시리
어려운 시험 당해도 주 너를 지키리 구주의 품에 거하라 주 너를 지키리
주 너를 지키리 아무때나 어디서나 주 너를 지키리 늘 지켜 주시리
오늘 모세의 이야기를 통해 하나님의 모세를 향한 그 세밀한 계획과 행함이 무척 놀라웠습니다.
하나님은 그런 분이신데, 맞아 알고 있는 얘기인데, 망각하고 살고 있는 나를 발견합니다.
게르솜의 상황들, 그리고 엘르에셀의 상황들
가만히 생각해보면 작게 게르솜과 엘르에셀의 상황이 왔다 갔다 했었는데, 그런데 한 가지는 아직 진행 중일까? 전체를 보기에는 내가 아직 모세가 광야로 쫓겨나 살고 있을 시기 정도이니 알려면 아직 먼 것 같습니다.
하나님은 변함없으신 분이시므로 그분을 믿으므로 내 삶도 하나님이 세밀하신 계획으로 이끌어 가고 계심을 믿습니다.
아직도 내 삶에 생각이 많고, 갈피를 모르지만 분명한 건 하나님이 날 이끄시는 것에 순종하기만 하면 됩니다.
순종해야 할 주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나님의 뜻을 알 수 있도록 늘 기도합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주님은 나를 이끌고 계시다는 메세지가 찬송 "주 너를 지키리"를 통해 더 깊이 마음을 울리며 감동을 줍니다.
'ssil 이야기 > 말씀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623] 주일예배 설교 말씀 (0) | 2024.06.23 |
---|---|
[240616] 주일예배 설교 말씀 (0) | 2024.06.16 |
가정예배 (0) | 2024.06.08 |
[240512] 주일예배 설교 (0) | 2024.05.14 |
[240511] 토요 안심기도회 설교 - 위기에 대처하는 지혜 (0) | 2024.05.14 |